로그인정보 입력 영역

내서재

더보기

로그인 후 이용가능합니다.

전자책

  • 다운로드
  • 뷰어사용안내
  • 자료대출안내

새로나온 책

더보기

공지사항

더보기

컨텐츠상세보기

[민담학개론] 민담과 문학에 있어서의 입사식담 入社式談 : 『민담학개론』(1982년, 231~255쪽) (커버이미지)
북레일
[민담학개론] 민담과 문학에 있어서의 입사식담 入社式談 : 『민담학개론』(1982년, 231~255쪽)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김열규 
  • 출판사일조각 
  • 출판일2013-05-31 
보유 1,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책소개

민속학적인 입장에서 보면 입사제의(入社祭儀)는 사춘기제의(puberty rite)이다. 왜냐하면 모성적인 유대와 유아기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사춘기 소년들이 사회구성원의 자격을 갖춘 성인이 되기 위하여 반드시 거쳐야 하는 통과제의이기 때문이다. 그러한 입사제의는 보통 성역이나 외딴 곳의 오막살이 같은 곳으로 격리되면서 시작된다. 후보자들은 일련의 고통스러운 시련을 겪고 공적을 세운다. 우주의 기원, 도덕과 신성에 대하여 교육을 받는다. 일단 과정을 무사히 통과한 후보자들에게는 할례나 난자와 같은 표적은 몸에 새겨 준다. 마지막에 집단으로 귀환할 당시에 그들은 성인용품과 의상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그 전반적인 경험은 매우 위험하다.

이것은 모성적인 유대감을 파괴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소년들이 받는 교육은 성인이 되려면 반드시 알아야 하는 지식들로, 종교적·사회적 역할들이 주된 내용이다.



그런데 그러한 입사제의가 민담에서뿐만 아니라 현대문학에서도 그 의미를 띠고 있다면 그것은 상징성에 의해서일 것이다. 따라서 시간·공간의 문제를 초월하고, 제의·신화·문학이라는 형태적인 차이를 다 포괄할 수 있는 입사상징(initiatory symbolism)에 대해서 음미해 봄직하다.



- 『민담과 문학에 있어서의 入社式談』의 '서론' 에서 -

저자소개

연구 인생 60여 년을 오로지 한국인의 질박한 삶의 궤적에 천착한 대표적인 한국학 거장이다.

경상남도 고성에서 태어났으며, 서울대학교 국문학과를 거쳐 동대학원에서 국문학과 민속학을 전공했다.



서강대학교 국문학 교수, 하버드대학교 옌칭연구소 객원교수,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원장을 거쳐 현재 서강대학교 명예교수로 재직 중이다. 나이 이순(耳順)이 되던 1991년 데이비드 소로와 같은 삶을 살고자 고성으로 낙향했고, 그곳에서 해마다 한 권 이상의 책을 집필하고 수십 차례의 강연을 해오고 있다. 특성화 대안학교인 지리산고등학교에서 글쓰기 특강을 진행하기도 했다.



‘한국학’의 대표적 학자인 그의 반백 년 연구 인생의 중심 주제는 ‘한국인’이었다. 특히 『메멘토 모리, 죽음을 기억하라』와『한국인의 자서전』을 통해 한국인의 죽음론과 인생론 연구에 공헌했다.



지은 책으로는 『한국인의 에로스』, 『왜 사냐면, 웃지요』, 『고독한 호모디지털』,

『기호로 읽는 한국 문화』, 『빈손으로 돌아와도 좋다』, 『노년의 즐거움』, 『독서』, 『공부』 외 다수가 있다.

목차

●Ⅰ 序論<br /><br />●Ⅱ 텔레마크스 神話에 나타난 入社式 모티프<br /><br />●Ⅲ 햄릿傳乘의 祭典構造에 있어서의 入社式 모티프<br /><br />●Ⅳ 現代小說과 入社式 모티프<br /><br />●Ⅴ現代小說 속에 나타난 入社式談<br /><br />

한줄 서평